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고리즘
- html input
- 아두이노 핀 맵
- 아두이노 wifi
- mysql api
- 아두이노 핀
- HTML
- mysql c
- web
- 아두이노 pro mini
- 아두이노 와이파이
- 아두이노 프로미니
- 라즈베리파이
- 데이터베이스
- 아두이노
- ubuntu
- database
- Raspberry Pi
- Arduino
- Virtual Box
- Arduino pin
- Arduino pin map
- 아두이노 핀맵
- Mysql c API
- MySQL
- Codility
- wifi멀티탭
- 웹 프로그래밍
- vm
- 코딜리티
- Today
- Total
offfff
라즈베리파이 원격 데스크톱 접속 환경구축 본문
라즈베리파이 원격 데스크톱 접속 환경구축
라즈베리파이는 휴대하기 간편한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모니터나 키보드 등등 챙겨야하는 게 한 둘이 아니어서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그래서 라즈베리파이 원격접속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론
그 전에 Telne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elnet은 원격 터미널 접속 서비스입니다.
tcp 23번 포트로 통신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포트번호 변경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패킷에 보안이 적용되지 않아, 외부의 위협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Telnet을 보완한 것이 SSH입니다.
텔넷과 마찬가지로 원격 터미널 접속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보안이 강화된 프로그램입니다.
보통 라즈베리파이 원격접속 구성 시 SSH를 많이 사용하는데,
터미널 환경이다 보니 리눅스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불편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소개할 것이 xrdp입니다.
xrdp는 원격 데스크탑 프로토콜(Remote Desktop Protocol)의 일종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윈도우를 사용해서 GUI환경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라즈베리파이도 데스크탑 환경으로 원격접속 하는게 더 편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도 라즈베리파이 환경에서 자료 수집하는 게 많이 불편해서
윈도우에서 원격접속 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컴퓨터끼리 원격접속 하는 프로토콜이 rdp인데,
이놈을 리눅스에도 적용한 게 xrdp입니다.
xrdp를 사용하면 윈도우 컴퓨터와 리눅스 컴퓨터가 원격접속 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이전 글에 이어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2-1. 같은 로컬 네트워크상에서 원격접속
라즈베리파이와 컴퓨터가 같은 공유기를 쓰고 있는 경우에서 시작하겠습니다.
랜 선으로 컴퓨터와 라즈베리파이를 연결해도 설정은 비슷합니다.
① xrdp를 패키지 관리 명령어로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xrdp
② 터미널 창에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여 ip주소를 확인합니다.
랜 선을 사용하시는 분은 eth0에 있는 inet addr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192.168.1.5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무선 랜은 고정 IP로 사용하는 게 편한데,
이것은 나중에 따로 다루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할 일은 다 끝났습니다.
③ 이제 윈도우 컴퓨터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컴퓨터에 방금 찾은 IP 주소를 입력하고 연결버튼을 누릅니다.
④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성공입니다. 실패 시 댓글주세요.
username과 password에는 각각 라즈베리파이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한 번도 비밀번호를 바꾸지 않았다면 pi / raspberry를 각각 입력하시면 됩니다.
ok를 누르면 오른쪽과 같은 창이 뜨면서 접속이 진행됩니다.
⑤ 원격접속 완료 화면
마우스를 움직이면 X 자가 돌아다니는데 이게 마우스 커서입니다.
2-2. 외부 네트워크 접속
집에 라즈베리파이를 커놓고, 집 밖에서 원격으로 접속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2-1이 완료된 상태에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라즈베리파이 IP주소(여기서 192.168.1.5)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입니다.
이 주소로 집밖에서 연결하면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밖에서 홈 네트워크까지 도달하는 ‘외부 IP 주소’를 확인하고
이 주소를 라즈베리파이의 ‘내부 IP(라즈베리파이)’로 연결해 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게 포트포워딩입니다.
공유기 설정페이지에서 자신의 진짜 IP 주소를 확인하거나,
인터넷 검색(검색어 ‘내 IP 주소’)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공유기 설정을 건드려야 하니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하는 게 낫겠습니다.
① 먼저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제 경우에는 192.168.1.1입니다.
192.168.1.5에서 맨 뒷자리만 1로 바꿔 웹브라우저에서 실행합니다.
아래 같은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데(공유기마다 다릅니다)
설정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 합니다.
② 포트포워드
로그인 후 화면인데, 마찬가지로 공유기마다 다릅니다.
열심히 메뉴를 뒤져 포트포워드(혹은 포트포워딩)을 찾습니다.
그 전에 외부 IP 정보를 찾아서 기억해 둡니다
(‘시스템 요약 정보’같은 메뉴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규칙이름에 원하는 이름을 넣어주고
내부 IP 주소에 라즈베리파이의 IP를 넣습니다.
포트 번호는 0~65,535사이의 값을 설정하는데, 사실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정해져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임시로 10번을 외부포트에 적었습니다.
내부포트는 사용할 프로그램의 포트번호를 적어줘야합니다.
SSH같은 경우는 22번이고 우리가 사용할 xrdp의 경우는 3389번입니다.
내부포트에 3389를 적어줍니다.
설정을 추가하면 공유기 설정은 완료입니다.
③ 검증
제대로 설정이 됐나 외부에서 접속을 해보셔야 할 겁니다.
스마트폰으로 LTE나 3G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해보시길 바랍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배포한 원격접속 앱이 있는데,
앱스토어에서 Remote desktop으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만약 기억해둔 외부 IP 번호를 123.456.78.90이라고 하면, 123.456.78.90:10으로 접속합니다.
접속이 된다면, 설정이 제대로 된겁니다.
이제 집에 켜두고 밖에서 접속해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함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eration] BinaryGap (0) | 2016.10.12 |
---|---|
32x16 RGB LED matrix panel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하기 (2) | 2016.10.02 |
라즈베리파이 시작하기 (0) | 2016.09.30 |
HTML Input Attribute (0) | 2016.09.21 |
HTML Input Types (0) | 2016.09.20 |